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자동차 각종버튼 기능 및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자(라이트,전조등버튼조작편)

by 자동차청년 2024. 4. 6.

안녕하세요 자동차 청년입니다.

 

오늘은 자동차 각종버튼 기능 및 사용법 2편 라이트 조작버튼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먼저 1편 공조기편을 안보셨다면 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2024.03.31 - [자동차] - 자동차 각종버튼 기능 및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자(공조기편)

 

이전 편에서 예전과 다르게 자동차의 기능들이 많이 추가가 됐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중에 하나인 라이트도 많이 업그레이드가 되었습니다. 

 

다행이 라이트는 다른 부품들과 다르게 사용자에게 많이 변화되는 버튼은 없겠습니다.

 

하지만 차량자체적으로 사용되는 기능들이 많아졌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라이트의 기본조작부터 자체적인 기능까지 알아보는 시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라이트(전조등) 버튼 위치

1.일반 스틱식 수동형 라이트 조작스틱(좌측) / 2.버튼식 라이트 조작부  / 3.최신 디스플레이형 라이트 조작법

 

보통 일반차량의 경우 좌측사진처럼 핸들뒤편의 양쪽으로 스틱 같은 것이 위치해 있습니다. (1번 사진)

 

그중에 바로 좌측에 있는 스틱이 바로 라이트조작 버튼입니다.

라이트조작부는 위로나 아래로 올려다 내렸다 할 수 도있으며 스틱 끝을 돌려 원하는 버튼에 맞게 화살표를 돌리시면 됩니다.

 

최신 차량의 같은 경우에는 오른쪽사진처럼 중앙디스플레이에서 라이트를 터치 조작하거나(3번 사진)

 

중앙사진처럼 운전석 좌측 하단부에 버튼식으로 라이트조작부가 있습니다.(2번 사진) 

 

내 차량의 라이트 조작버튼은 어떠한 방법인지 확인해 보세요~

 

 

 

라이트(전조등) 버튼 표시 및 기능

최신 버전의 차량의 디스플레이 조작방식은 디스플레이에 표시와 명칭이 같이 나와있기 때문에 편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스틱타입이나 버튼타입 같은 경우에는 표시만 나와있으며 명칭은 나와있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동차를 잘 모르시는 분들은 헷갈리시거나 잘 모르실 수 있습니다. 

 

바로 버튼의 명칭과 기능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off , 미등, 하향등, auto, 안개등, 상향등(기본 6가지 버튼 조작)

 

off

말 그대로 라이트를 off  꺼지게 하는 버튼입니다.  

 

미등

미등은 라이트 중 가장 약한 불빛을 내는 장치로 시야가 어두운 경우 사용됩니다.

 

미등은 전조등(하향등)과 달리 차량의 전방을 밝히는 것이 아닙니다.

 

내 차량의 위치를 다른 운전자들에게 알리는 역할을 합니다. 내 차량에서 약하게 불빛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어두운 경우 차의 실내의 버튼들이 잘 안보이실 때도 있습니다. 

 

미등을 켜시게 된다면 차 실내 계기판, 센터패시아등과 깜빡이, 브레이크등, 휀다등에

 

약한 빛이 들어오게 되어 버튼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

 

하향등

야간 시내주행 등 주위에 어느 정도 광원이 있어 시야 확보가 가능한 상황에서, 차량의 전방 40m가량을 밝혀 주는 주된 역할을 하는 하향등입니다.

 

대부분의 운전자는 시내주행 내지 가로등 켜진 고속도로/국도 주행이 일상 주행에서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므로, 사실상 차량 전조등에서 가장 메인이 되는 버튼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내 앞에 있는 선행 차량이나 반대편에서 오는 교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일으키지 않기 위해 라이트의 조사각(빛의 각도)이 아래로 조정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하향등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합니다.

 

오토

말 그대로 오토(자동) 장치입니다. 

 

주행 중에 주변환경에 맞게 차량의 라이트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가리킵니다.

 

이 기능은 운전자가 조명을 켜고 끄는 번거로움 없이 주변 조명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합니다.

 

주로 낮에는 주변 조명이 충분히 밝은 경우에는 라이트를 꺼지며, 어둡거나 밤에는 자동으로 차량 앞부분의 라이트가 켜지고, 주변이 충분히 밝아지면 다시 라이트를 거는 등의 동작을 하는 버튼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안개등

안개등은 안개, 짙은 비, 눈, 먼지 등으로 인해 하향등만으로 시야가 제한될 때 운전자의 시야를 개선하기 위해 설계된 조명 장치입니다

 

일반적으로 안개등은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어 있으며, 안개등을 켜면 주변 시야가 탁한 환경에서도 운전자가 전방이나 후방의 도로 및 차량을 더 잘 볼 수 있습니다.

 

상향등

상향등은 하향등 만으로 차량의 시야가 안보이거나 너무 어두워 시야를 멀리 봐야 할 때 사용되는 장치입니다.

 

상향등보다 밝기가 높고 멀리 보이도록 작동하기 때문에 반대편에서 오는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대편이나 앞에 차량이 없을 때 사용하셔야 합니다.

 

상향등만 조작방법이 조금 다릅니다.

 

하지만 스틱방식이나 버튼식이나 디스플레이식이나 모든 방식에서 조작법이 같습니다.

 

상향등을 한 번만 깜빡이고 싶을 때는 몸 쪽으로 당겼다 놓으시면 당기시는 동안만 상향등이 작동됩니다.

 

상향등을 계속 켜시길 원하시면 몸 반대쪽으로 미시면 상향등이 계속 켜지면 끄길원하기면 원위치로 당기시면 됩니다.

 

 

여기까지는 라이트의 기본 조작방법 및 기능에 알아보았습니다. 


 

최신 라이트 시스템

그러면 이제부터는 라이트가 얼마나 발전했는지 1가지 예시를 들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bmw의 라이트 기술을 예로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어댑티브 헤드라이트 시스템입니다. 

 

 

어댑티브 헤드라이트 시스템

크게 기능은 2가지가 있습니다. 

 

1. 조향에 따라 헤드라이트가 비춰주는 각도가 바뀌어 시인성이 좋아진다.

2. 너무 어두운 곳에서 상향등이 자동으로 켜지게 되며 전방에 있는 차량에게만 라이트가 비치지 않습니다.

 

조향각에 따른 시인성

 

1.먼저 조향에 따라 바뀌는 라이트 각도입니다.

 

좌측으로 회전 중에 라이트는 원래라면 (사진의 우측 라이트같이) 좌측 차선을 넘어서 라이트를 밝힐 수 없어 시야가 좁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어댑티브 기술이 들어가면서 조향을 함과 동시에 라이트가 좌측을 비춰주기 때문에 시야도 넓어지며 사고도 예방할 수 있게 되겠습니다.

 

 

2.두번째는 반대편의 차량이나 앞의 차량에게만 빛이 안 비치게 하는 기술입니다. 

 

그냥 멀리만 볼 수 있다면 다른 운전자들의 시야를 방해하기 때문에 사고율이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이 기술은 운전자의 시야만 넓혀주는 것이 아닌 다른 운전다들의 안전까지도 보장되는 기술입니다. 

 

 


 

어떠신가요? 자동차 라이트 기술도 굉장히 많이 발전했다는 것을 느끼셨나요?

 

라이트 조작법 및 기능에 대해서도 유익한 정보 되셨기 바라겠습니다. 

 

항상 안전 운전하시고 ~ 글이 좋았다면 좋아요 눌러주세요~ 

 

다음 포스팅 때 뵙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